Semantic Web

코딩/Tip 2022. 6. 7. 14:27

시멘틱 웹이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웹이라는 의미로 검색 엔진 최적화( SEO)를 위해서는 웹 표준에서 채택하고 있는 태그에 따라 웹 사이트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. 

 

대표적인 태그로는  header, nav, title, h, alt tag 등이 있다. 

 

사이트 제작 시 Logo를 이미지로 쓰는 페이지가 많았지만 html 작성시에 항상 h1태그로 제목을 표시하고 font-size를 0으로 줄이는 방법으로 작성하도록 배웠는데, h1 태그 장성만으로도 검색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니 그 때문이었구나..란 생각과

 

알면 보이는 구나..란 생각이 든다. 

 

 

'코딩 >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ross Browsing  (0) 2022.06.04
JQuery Migrate 플러그인  (0) 2022.06.03
posted by .Miya.

Cross Browsing

코딩/Tip 2022. 6. 4. 01:34

크로스브라우징

 

어떤 기기나 브라우저에서도 웹 사이트가 원활히 동작하도록 만드는 것을 크로스 브라우징(Cross Browsing)이라고 한다. 

새로나온 최신의 코드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. 

 

1. statcounter : https://gs.statcounter.com/

브라우저 점유율을 알려주는 사이트.

2022년 6월 기준으로 크롬이 점유율 64.95%를 차지함.

 

2. Can I Use : https://caniuse.com/

CSS flexbox를 기준으로 검색해 보면 아래와 같다. 

현재 사용중인  Chrome버전은 아래에서 확인되는 102버전이고 Flexbox가 지원된다. 

3. Vendor Prefix(벤더 프리픽스)

예를 들어 설명하면  transition이라는 CSS3기능이 새로 등장했다고 했을때 이 기능이 아직 완벽하게 정립되지 않았을 때 실험적으로 기능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접두사를 붙인다. CSS3에서 표준으로 확정 된 경우 브라우저 버전에 업그레이드되면 이 접두사를 사용할 필요가 사라진다. 하지만 이전 버전의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이용자가 이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벤더 프리픽스를 붙여 사용해야 한다. 

벤더 프리픽스 접두사는 각 브라우저 마다 다르다.

구글의 크롬, 모질라의 파이어폭스, 애플 사파리, MS의 익스플로러 등..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

크롬과 사파리는 같은 -webkit을 사용한다. 

 

접두어 브라우저 공급사
-webkit-transition:all .3s; 크롬(Chrome), 사파리(Safari) 구글(Google), 애플(Apple)
-moz-transition:all .3s; 파이어폭스(Firefox) 모질라(Mozilla Foundation)
-o-transition:all .3s; 오페라(Opera) 오페라소프트웨어(Opera Software)
-ms-transition:all .3s; 인터넷 익스플로러(Internet Explorer) MS(Microsoft)

 

'코딩 >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mantic Web  (0) 2022.06.07
JQuery Migrate 플러그인  (0) 2022.06.03
posted by .Miya.

JQuery Migrate 플러그인

코딩/Tip 2022. 6. 3. 14:40

jQuery 1.9 버전 이전에 작성된 코드와 이후에 작성된 코드 간의 호환성 이슈문제 해결

 

구형 jQuery로 작성된 페이지에 최신 플러그인이나 기타 스크립트 삽입할 때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플러그인

 

[출처 : 김윤미, Do it! 웹 사이트 따라 만들기, 이지스퍼블리싱, 2019, 48p]

'코딩 >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mantic Web  (0) 2022.06.07
Cross Browsing  (0) 2022.06.04
posted by .Miya.